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.
(예시)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,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.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,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.
오늘이 '이산가족의 날' 인 것, 알고 계시나요?
추석 연휴를 맞아 고향을 찾는 발길이 이어지는 지금, 이산가족들은 가지도, 만나지도 못하는 고향과 가족에 대한 그리움이 더 깊어지는 날입니다.
평생을 기다렸지만 70년이 넘도록 가족을 만나지 못한 이산가족을 안서연 기자가 만나봤습니다.
[리포트]
["나의 살던 고향은 꽃피는 산골."]
올해 아흔 한 살의 고진섭 할아버지의 고향은 황해도 송화군입니다.
한국전쟁 당시 부모님의 뜻에 따라 누나와 둘만 고향을 떠났던 그 날 이후, 다신 부모님을 찾아뵐 수 없게 됐습니다.
[고진섭/실향민 : "눈이 펑펑 날리는데 안 보일 때까지 (손을) 흔들고 그런 생각이 지금도 눈이 올 때마다 그 생각이 나면 눈물이 나요."]
줄곧 부모님 제사를 지내온 고 할아버지, 이북에 동생도 4명이 있지만 생사조차 모릅니다.
[고진섭/실향민 : "진삼이, 진주 동생들 편히 좀 잘 있다 가서 부디 좀 살아서 한 번 만나는 게 원이지 뭐. 딴 게 원이 아니라."]
고 할아버지처럼 북에 두고 온 가족들이 그리워 지금까지 상봉을 신청한 사람은 전국적으로 13만 3천여 명, 이 가운데 70%는 세상을 떠나고 4만 명 정도만 생존해 있습니다.
이마저도 대부분 80대 이상의 고령자로, 매달 2백여 명의 어르신들이 그리움을 삼킨 채 눈을 감고 있습니다.
절박한 상황에도 이산가족 상봉은 2018년 8월을 마지막으로 멈춰있습니다.
5년 전 550명이던 제주지역 이산가족 생존자는 현재 414명으로 줄었습니다.
당시 남측 최고령자로 북측 동생을 만나고 온 강정옥 할머니,
[고 강정옥/2018년 당시 100살 : "정화야, 건강하게 잘 살아라."]
함께 찍은 사진을 매만지며 그리움을 달래다 지난해 세상을 떠났습니다.
대한적십자사는 올해부터 이산가족의 삶을 기록하고 있습니다.
[송제원/대한적십자사 남북교류팀 과장 : "이산가족의 생애를 글과 사진으로 남겨서 교류 이후 북측의 가족에게 전달하거나 전달이 불가능하더라도 사례로 남기고자."]
하지만 시범사업이다 보니 기록 대상은 전국에서 10명뿐, 사업을 확대할 지는 미지수입니다.
보이지 않는 희망 앞에서 이산가족들은 흘러가는 시간이 야속하기만 합니다.
KBS 뉴스 안서연입니다.
촬영기자:고성호/그래픽:조하연
안서연 기자 (asy0104@kbs.co.kr)
顶: 453踩: 56
이산가족엔 ‘그리움의 날’…“남은 시간이 없어요”
人参与 | 时间:2023-12-04 07:47:48
相关文章
- 에이스 황선우와 김서영이 뭉친 혼성 혼계영, 값진 동메달
- 길어지는 美긴축… 한국 경제 ‘금리·환율·물가’ 3高 부담 가중
- 한화생명, LCK 서머 PO 개막전서 DRX 3:0 완파…2라운드 진출
- '아이폰15 구원투수 될까'…대만 부품기업 8월 매출 12% 하락
- [아시안게임] 한국 남녀 3대3 농구, 나란히 몰디브 꺾고 2연승
- “건설업계 줄도산 막아라” 정부 대책… 특정 금융사 일조했나
- 항저우AG 선발 출격하는 이강인, '환한 미소로' [사진]
- [fn마켓워치]'고금리 사이클 진입?' 약한 고리 PF 대출 시장 '초긴장'
- 안성시, 저소득층 지원 교통비는 소득산정시 제외
- 넥슨 2분기 영업익 2천640억…전년 동기 대비 22% 증가
评论专区